본문 바로가기

Docker, CI/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 공부하기 3 - yaml 파일을 활용한 deploy/service 하기

https://loy124.tistory.com/402

 

쿠버네티스 공부하기 2 - 간단하게 deploy/service 하기

https://loy124.tistory.com/400 쿠버네티스 공부하기 1 - minikube 설치하기 쿠버네티스를 공부하기로 시작한 계기는 아무래도 내가 회사에서 개발 + 운영및 배포를 다같이 하면서 필요성에 의해 공부를 시

loy124.tistory.com

이전 시간에는 커맨드를 활용한 deploy/service를 진행해 보았다. 

 

이제 해당 커맨드 -> 파일을 활용해 현재 어떤 상태인지 파일로 관리하게 하겠다.

 

이제 yaml 파일을 작성하고 해당 yaml을 쿠버네티스에서 읽어서 활용해 보는 시간을 가지겠다. 

 

 

만약에 이전 글에서 실습한 내용이 남아있다면 

kubectl delete service nginx

kubectl delete deployment nginx

명령어를 통해 존재하는 service와 deployment를 지워주도록 한다. 

 

이제 먼저 Deployment에 대한  yaml 파일을 을 작성해 보도록한다.

 

Deployment yaml 파일 만들기 

 

nginx-deployment.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ginx-deployment
  # namespace: my-namespace   # 네임스페이스 지정 kubectl create namespace my-namespace로 미리 생성해두어야 동작한다.
  labels:
    app: nginx
    version: v1
  annotations:              # 주석(annotations) 추가
    description: "Nginx Web Server Deployment"
spec:
  replicas: 3
  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
      version: v1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version: v1        
      annotations:         
        author: "onyou"
    spec:
      containers:
        - name: nginx-container
          image: nginx:latest
          ports:
            - containerPort: 80

 

apiVersion

스크립트를 실행하기 위한 쿠버네티스의 API 버전을 의미한다.

쿠버네티스에서는 API 서버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는데 이에 따라 버전 명시를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kind

리소스에 대한 종류를 명시한다.

ex0 kind가 Deployment라면 해당 yaml이 Deployment임을,
kind가 Service 라면 해당 yaml 파일이 Service라고 알려주는 역활을 하고있다.

 

metadata

  • name  - 리소스의 이름을 나타낸다. 고유한 이름으로 작성해야한다. 
  • namespace - 리소스가 속하는 네임스페이스를 나타낸다. 명시하지 않을경우 default namespace로 생성된다.
  • labels - 리소스에 레이블을 부여해서 키-값 으로 리소스를 구분할때 사용한다. 
  • annotations - 리소스에 대한 추가적인 메타데이터를 기술할때 사용한다. 

 

 

spec

리소스 생성을 위해 자세한 정보를 명시한다. (어떤 컨테이너를 사용하고, 어떤 이미지를 사용할것인지, 어떤 포트를 사용할것이지 등)

 

쿠버네티스의 현재 status 를 -> spec에 맞게 변경시킨다. 

 

  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
      version: v1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version: v1

selector  

deployment가 관리하는 파드를 선택하기 위한 레이블 셀렉터  app이 nginx이고 version이 v1 인 파드를 선택하게 되어있다.

 

template

deployment가 새로운 파드를 생성할때 사용할 파드 템플릿을 정의한다. 어떤 컨테이너가 실행되어야하는지 요구사항은

어떤지 지정할수 있다. 즉 template에 정의된 내용을 selector가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 

 

 

 

파일로 deployment 생성 하기 

파일로 deployment를 생성할 경우 앞으로 apply 라는 명령어를 활용할 예정이다.

 

이전 시간에는 create로 만들었던거 같은데? apply를 쓰는 이유가 있다. 

명령어 이름 차이점
create 리소스가 생성된 경우 수정이 불가능하다.
apply 리소스가 생성된 경우에도 spec에 맞춰 변경시킨다.

그럼 이제 apply로 한번 deployment를 만들어보고 해당 deployment를 수정해서 확인 또한 해보겠다.

 

apply -f   -f 옵션을 줘서 파일을 읽어서 생성할수 있다. 

 

kubectl apply -f nginx-deployment.yaml

kubectl get deployment

kubectl get pod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생성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describe 명령어를 활용하면 더 자세히 내역을 알수 있다. 

kubectl describe -f nginx-deployment.yaml

 

 

파일을 읽어서 deployment를 생성해 보았다. 

 

이제 nginx-deployment의 내용을 살짝 수정해 보겠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ginx-deployment
  # namespace: my-namespace   # 네임스페이스 지정 kubectl create namespace my-namespace로 미리 생성해두어야 동작한다.
  labels:
    app: nginx
    version: v1
  annotations:              # 주석(annotations) 추가
    description: "Nginx Web Server Deployment"
spec:
  replicas: 2
  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
      version: v1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version: v1        
      annotations:         
        author: "onyou"
    spec:
      containers:
        - name: nginx-container
          image: nginx:latest
          ports:
            - containerPort: 80

 

pod의 갯수를 담당하는 replicas를 3 -> 2로 변경하였다. 

 

이제 다시 실행해보자. 

kubectl apply -f nginx-deployment.yaml

kubectl get deployment

kubectl get pod

 

 

pod가 3개에서 2개로 줄어든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apply  + yaml 파일의 조합을 활용하면 spec을 변화시켜 적용하는것이 굉장히 편리해진다. 

 

 

이제 서비스에 대한 yaml 파일을 만들어볼 차례이다. 

Service yaml 파일 만들기 

 

 

nginx-service.yaml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nginx-service
spec:
  selector:
    app: nginx        # 해당 레이블을 가진 파드들을 선택
  ports:
    - protocol: TCP
      port: 80        # 서비스가 노출하는 포트
      targetPort: 80  # 파드의 컨테이너 포트

 

이제 만든 yaml로 service를 실행시켜 보겠다

 

방식은 똑같이 apply -f 로 파일을 읽어서 실행시키면 된다.

kubectl apply -f nginx-service.yaml

kubectl get serivce -o wide

minikube service nginx-service

 

 

 

여기까지 쿠버네티스에서 파일을 활용해 Deployment, Service를 배포하는 법을 알아보았다. 

 

 

 

+

 

Kind 및 ApiVersion 명시 알아 보는 법 

yaml 파일 작성시에 ApiVersion은 어떻게 작성해야하는지, Kind는 어떻게 작성해야하는지 혼동이 오는 경우가 있다.

이럴땐 해당 명령어로 쉽게 찾는게 가능하다. 

kubectl api-resources

위 명령어로 조회할수 있다. 

 

쿠버네티스 버전 명시 

NAME SHORTNAMES API VERSION NAMESPACED KIND
bindings   v1 true Binding
componentstatuses cs v1 false ComponentStatus
configmaps cm v1 true ConfigMap
endpoints ep v1 true Endpoints
events ev v1 true Event
limitranges limits v1 true LimitRange
namespaces ns v1 false Namespace
nodes no v1 false Node
persistentvolumeclaims pvc v1 true PersistentVolumeClaim
persistentvolumes pv v1 false PersistentVolume
pods po v1 true Pod
podtemplates   v1 true PodTemplate
replicationcontrollers rc v1 true ReplicationController
resourcequotas quota v1 true ResourceQuota
secrets   v1 true Secret
serviceaccounts sa v1 true ServiceAccount
services svc v1 true Service
mutatingwebhookconfigurations   admissionregistration.k8s.io/v1 false MutatingWebhookConfiguration
validatingwebhookconfigurations   admissionregistration.k8s.io/v1 false ValidatingWebhookConfiguration
customresourcedefinitions crd,crds apiextensions.k8s.io/v1 false CustomResourceDefinition
apiservices   apiregistration.k8s.io/v1 false APIService
controllerrevisions   apps/v1 true ControllerRevision
daemonsets ds apps/v1 true DaemonSet
deployments deploy apps/v1 true Deployment
replicasets rs apps/v1 true ReplicaSet
statefulsets sts apps/v1 true StatefulSet
tokenreviews   authentication.k8s.io/v1 false TokenReview
localsubjectaccessreviews   authorization.k8s.io/v1 true LocalSubjectAccessReview
selfsubjectaccessreviews   authorization.k8s.io/v1 false SelfSubjectAccessReview
selfsubjectrulesreviews   authorization.k8s.io/v1 false SelfSubjectRulesReview
subjectaccessreviews   authorization.k8s.io/v1 false SubjectAccessReview
horizontalpodautoscalers hpa autoscaling/v2 true HorizontalPodAutoscaler
cronjobs cj batch/v1 true CronJob
jobs   batch/v1 true Job
certificatesigningrequests csr certificates.k8s.io/v1 false CertificateSigningRequest
leases   coordination.k8s.io/v1 true Lease
endpointslices   discovery.k8s.io/v1 true EndpointSlice
events ev events.k8s.io/v1 true Event
flowschemas   flowcontrol.apiserver.k8s.io/v1beta3 false FlowSchema
prioritylevelconfigurations   flowcontrol.apiserver.k8s.io/v1beta3 false PriorityLevelConfiguration
ingressclasses   networking.k8s.io/v1 false IngressClass
ingresses ing networking.k8s.io/v1 true Ingress
networkpolicies netpol networking.k8s.io/v1 true NetworkPolicy
runtimeclasses   node.k8s.io/v1 false RuntimeClass
poddisruptionbudgets pdb policy/v1 true PodDisruptionBudget
clusterrolebindings   rbac.authorization.k8s.io/v1 false ClusterRoleBinding
clusterroles   rbac.authorization.k8s.io/v1 false ClusterRole
rolebindings   rbac.authorization.k8s.io/v1 true RoleBinding
roles   rbac.authorization.k8s.io/v1 true Role
priorityclasses pc scheduling.k8s.io/v1 false PriorityClass
csidrivers   storage.k8s.io/v1 false CSIDriver
csinodes   storage.k8s.io/v1 false CSINode
csistoragecapacities   storage.k8s.io/v1 true CSIStorageCapacity
storageclasses sc storage.k8s.io/v1 false StorageClass
volumeattachments   storage.k8s.io/v1 false VolumeAttachment

(명령어를 가져와서 표를 만들어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