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CI/쿠버네티스 Docker, CI/쿠버네티스 2023. 7. 23. 쿠버네티스 공부하기 3 - yaml 파일을 활용한 deploy/service 하기 https://loy124.tistory.com/402 쿠버네티스 공부하기 2 - 간단하게 deploy/service 하기 https://loy124.tistory.com/400 쿠버네티스 공부하기 1 - minikube 설치하기 쿠버네티스를 공부하기로 시작한 계기는 아무래도 내가 회사에서 개발 + 운영및 배포를 다같이 하면서 필요성에 의해 공부를 시 loy124.tistory.com 이전 시간에는 커맨드를 활용한 deploy/service를 진행해 보았다. 이제 해당 커맨드 -> 파일을 활용해 현재 어떤 상태인지 파일로 관리하게 하겠다. 이제 yaml 파일을 작성하고 해당 yaml을 쿠버네티스에서 읽어서 활용해 보는 시간을 가지겠다. 만약에 이전 글에서 실습한 내용이 남아있다면 kubectl delet.. Docker, CI/쿠버네티스 2023. 7. 23. 쿠버네티스 공부하기 2 - 간단하게 deploy/service/scale 하기 https://loy124.tistory.com/400 쿠버네티스 공부하기 1 - minikube 설치하기 쿠버네티스를 공부하기로 시작한 계기는 아무래도 내가 회사에서 개발 + 운영및 배포를 다같이 하면서 필요성에 의해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다. Docker 기반으로 컨테이너 관리는 docker-compose 정도 loy124.tistory.com 위 minikube 설치에 이어 진행한다. 이제 쿠버네티스의 큰 흐름에 대해 알아보고 진행하려고 한다. 쿠버네티스에 대해 이해하려면 먼저 클러스터라는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간단하게 클러스터는 영어로 군체, 집속체, 무리라는 뜻으로 쿠버네티스에서도 각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집합 요소들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C.. Docker, CI/쿠버네티스 2023. 7. 13. 쿠버네티스 공부하기 1 - minikube 설치하기 쿠버네티스를 공부하기로 시작한 계기는 아무래도 내가 회사에서 개발 + 운영및 배포를 다같이 하면서 필요성에 의해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다. Docker 기반으로 컨테이너 관리는 docker-compose 정도에 그쳤고 그 이상 각자 다른서버에 있는 컨테이너를 관리하기에는 어느정도 한계가 있었다. 위와같이 관리하는 서버와 컨테이너는 늘어나고.. 이를 위해 각 서버마다 명령어 리눅스 명령어 쉘을 만들고 그걸 젠킨스로 쉘을 실행시켜 어느정도 자동화 까지는 이뤄냈지만 이것도 어느정도 한계가 있기 마련이였다. 그에 따라 쿠버네티스 공부를 시작하기로 하였다. https://kubernetes.io/ Production-Grade Container Orchestration Production-Grade Containe.. 이전 1 다음